msmasd
Open Graph
Web
2018. 10. 14. 15:19
Open Graph
Open Graph?
Open Graph는 요즘 페이스북이나 카카오톡에서 Url을 입력했을시, 해당 Url에 대한 정보를 간략하게 보여주게 해주는 것
이러한 간략한 정보는 특정 규약에 따라 정보를 받아오는데, 그 규약이 Open Graph Protocol
Open Graph Protocol?
Facebook에서 만들어낸것으로 알려진 Protocol
Open Graph를 사용하는쪽에서나 웹페이지를 개발하는 사람들이 어떤 정보를 Open Graph를 통해 어떻게 데이터를 넘길지 정해진 규칙
Html - Header - Meta 태그 안에 “og:title”, “og:description”, “og:image”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함
Open Graph 데이터를 받아오는 Tag
og:title - 해당 사이트의 오픈그래프 제목
og:description - 해당 사이트의 오픈그래프의 설명
og:image - 해당 사이트의 오픈그래프의 이미지
Open Graph를 위한 Server side Rendering
지원해야 하는 것은 특정 요청에서만 Open Graph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특정 request에 header에는 “bot”이라는 속성을 넣어주기로 정해졌습니다.
이 “bot”에 속도를 위해서, 페이지를 다 넘겨주는 방식보다 서버사이드 랜더링을 구현합니다.
현재 Nginx를 사용하고 있는데, request중에서 “bot”이라는 속성을 가진 requset에는 Open Graph를 처리하는 Api로 보내게 한 뒤,
Api에서는 요청 Url을 분석하여 og태그들을 요청 url에 맞도록 변환한 뒤, html을 string으로 만들고 og태그들을 넣은채 response를 보냅니다.
알맞은 og태그로 채워진 response를 가지고 Open Graph를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에 대한 이슈없이 Open Gragh를 처리하게 되었습니다.
좋아요
공감
공유하기
URL 복사
카카오톡 공유
페이스북 공유
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
msmasd
'
Web
'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 간단정리
(0)
2018.11.01
이 글을 공유합시다
'Web' 의 관련글
Redis 간단정리
2018.11.01
더보기
댓글
글쓰기
관리자
카테고리
맨위로
티스토리툴바
관리메뉴열기
개인정보
티스토리 홈
포럼
로그인
msmasd
구독하기
닫기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